반응형
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이 김한길 전 새천년민주당 대표의 윤석열 캠프 새시대준비위원장 합류에 대해 재창당을 암시하는 것이라는 느낌을 받았다고 발표했다.
재창당 암시 이유
우상호 의원은 김어준과의 뉴스공장 인터뷰에서 과거 김한길 전 대표가 움직이면 정치 세력이 재편된다며 국민의힘의 재창당 움직임이 보인다고 개인적 의견을 말했다. 결과적으로 김한길 전 대표는 팀을 망가트리고 새로운 팀을 짜는 정치를 해왔다는 것이다.
김한길은 참여정부시절 말 청와대와 각을 세우고 2014년 이후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를 맡던 시절에 6.4 지방선거와 7.30 재보선의 연이은 패배로 지도부에서 물러난 뒤에도 비대위 체제, 그리고 전당대회를 통해서 선출된 문재인 지도부를 사정없이 흔들어 대던 모습에서 잘 드러난다.
김한길의 별명이 당 분쇄기로 알려진 이유는 민주당 계열의 당을 모두 선거 참패와 분열을 야기한 정치인이라는 것이다.
민주당쪽에서는 김한길의 윤석열 캠프 합류는 국민의힘 분열과 재창당의 시작이라고 호기로 보고 있다.
김한길 당적 변경
순번 | 당적 변경 | 시기 | 비고 |
1 | 꼬마민주당 → 민주당 | 1991.9.16. | 신민주연합당과 합당 |
2 | 민주당 → 통일국민당 | 1992 | 총선 공천 탈락 불복 |
3 | 통일국민당 → 신민당 | 1994.7.8 | 신정치개혁당과 합당 |
4 | 신민당 → 무소속 | 1994 | 자의적인지 불분명한 탈당 정계 은퇴 및 방송활동 시작 |
5 | 무소속 → 새정치국민회의 | 1996.1.23. | 전국구 제안에 의한 입당 정계 재입문 |
6 | 새정치국민회의 → 새천년민주당 | 2000.1.20. | 새정치국민회의의 확대 개편 창당 |
7 | 새천년민주당 → 열린우리당 | 2003.11. | 새천년민주당 분당 |
8 | 열린우리당 → 무소속 | 2007.2.6. | 김한길계 집단 탈당 |
9 | 무소속 → 중도개혁통합신당 | 2007.5.7. | 김한길계 신당 창당 |
10 | 중도개혁통합신당 → 중도통합민주당 | 2007.6.29. | 민주당과 합당 |
11 | 중도통합민주당 → 대통합민주신당 | 2007.8.3.(탈당) 2007.8.5.(입당) |
김한길계 집단 탈당 2008.1.6. 정계 은퇴 선언 |
12 | 대통합민주신당 → 통합민주당 | 2008.2.17. | 민주당과 합당 |
13 | 통합민주당 → 민주당 | 2008.7.6. | 당명 변경 |
14 | 민주당 → 민주통합당 | 2011.12.16. | 시민통합당과 합당 2012년 초, 정계 재복귀 |
15 | 민주통합당 → 민주당 | 2013.5.4. | 당명 변경 |
16 | 민주당 → 새정치민주연합 | 2014.3.26. | 흡수 합당 |
17 | 새정치민주연합 → 더불어민주당 | 2015.12.28. | 당명 변경 |
18 | 더불어민주당 → 국민의당 | 2016.1.3.(탈당) 2016.2.2.(입당) |
새정치민주연합 분당의 여파로 탈당 |
19 | 국민의당 → 바른미래당 | 2018.2.13. |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합당 2019년 말 바른미래당 탈당 |
반응형
댓글